2020년 지앤푸드는 약 72억원을 광고 선전비로, 약 33억원을 판매 촉진비로 사용해 당해 마케팅 비용 합계액만 105억원을 넘어섰다. 이듬해에는 광고 선전비로만 약 124억원 이상을 투입했으며 판매 촉진비로는 약 61억원 정도를 들였다. 그 합계액은 약 185억원이었는데 이는 전년 대비 약 76% 정도 늘어난 수준이었다. 지난해의 경우 광고 선전비로 약 121억원, 판매 촉진비로 약 74억원을 투입한 것으로...<본문 중에서>

[뉴스워커_진단_치킨 프랜차이즈지앤푸드] 치킨 프랜차이즈 유통업, 상품연쇄화사업, 외식사업 등을 사업 목적으로 하는 지앤푸드는 굽네치킨을 운영하고 있다. 굽네치킨이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 부담을 늘렸는데 그 배경에 막대한 마케팅 비용도 한몫한 것으로 추측된다. 가격을 인상하며 수익성 방어에 나섰지만 실패해 영업이익률 등이 연이어 낮아졌지만 홍경호 지앤그룹 회장 일가는 지속적인 고액의 배당 수익을 받아갔다.

마케팅 비용만 지난해 약 195억원으로 업계 최고액.. 치킨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

굽네치킨은 지난해 두 차례 치킨 가격을 인상했다. 치킨 가격에는 원자재 값, 운반비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기 마련이다. 그중 광고 선전비, 판매 촉진비 등과 같은 마케팅 비용도 포함된다.

2020년 지앤푸드는 약 72억원을 광고 선전비로, 33억원을 판매 촉진비로 사용해 당해 마케팅 비용 합계액만 105억원을 넘어섰다. 이듬해에는 광고 선전비로만 약 124억원 이상을 투입했으며 판매 촉진비로는 약 61억원 정도를 들였다. 그 합계액은 약 185억원이었는데 이는 전년 대비 약 76% 정도 늘어난 수준이었다. 지난해의 경우 광고 선전비로 약 121억원, 판매 촉진비로 약 74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약 195억원 상당이 2022년 마케팅 비용으로 사용된 셈이다.

지앤푸드의 영업이익 대비 마케팅 비용의 비중이 해를 거듭하며 높아지고 있다. 2020년 약 196억원의 영업이익의 53.5% 정도가 광고 선전비 등으로 사용된 반면 1년 후 그 비중이 105.6%까지 상승했다.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되레 더 줄어든 것이 원인이었다. 2022년이 되자 영업이익은 약 123억원으로 더 감소했고 마케팅 비용은 전년 대비 더 늘었다. 그 결과 영업이익 대비 마케팅 비용의 비중은 157.8%까지 급증했다. 지앤푸드의 영업이익보다 더 큰 액수의 비용이 마케팅에 쓰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치킨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