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최종편집2025-11-26 10:03 (수)
Consumer

목록

  • [진단_캠핑업계 ③파세코] ‘창문형 에어컨’과 ‘캠핑 난로’ 명가의 위기, 흑자 전환에도 본질은 회복 못한 유일한 대표의 파세코… 재무 리스크 경고 신호 여전

    파세코(대표이사 유일한)는 1986년 8월 설립된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 주로 가전제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회사다. 초기에는 석유스토브와 히터 같은 난방 기기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했으나, 2019년 국내 최초로 창문형 에어컨을 출시하며 여름철 냉방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했다.주요 제품으로는 창문형 에어컨, 선풍기, 제습기 등 계절 가전 외에도 캠핑 관련 제품군이 두드러진다. 특히 캠핑용 난로(CAMP 시리즈), 팬히터, 화로대, DC 카본매트, 냉온장고 등 야외 활동을 위한 제품을 다양하게 생산하며, 국내 캠핑 시장에서 높은

  • [진단_캠핑업계 ②ES큐브] 재무 착시와 현금흐름 붕괴 뒤에 가려진 현실… 안경환 대표가 직면한 ES큐브의 매출 붕괴·주주 불신·지배구조 불안의 삼중고

    ES큐브(대표이사 안경환)는 1977년 6월 설립된 텐트 및 아웃도어 용품 제조 전문 기업으로, 초기에는 부산에 기반을 두고 해외 텐트 시장에서 전문가용 고급 제품을 공급하며 성장했다.2002년 코스닥에 상장된 이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으로 본사를 이전했으며, 주요 사업은 레저 및 기능성 텐트의 OEM·ODM 생산으로, 글로벌 브랜드인 스노우피크(Snow Peak), 콜맨(Coleman), 오가와(Ogawa), 국내 코오롱(Kolon), 코베아(Kovea) 등에 완성품을 공급한다.중국과 베트남에 100% 지분 자회사 3개를 두고 해외

  • [진단_캠핑업계 ①태양] 현창수 대표, 가격담합 후폭풍에 휘청이는 태양… 수익성 악화와 법적 리스크 심화

    1989년 10월 설립된 태양(대표이사 현창수)은 코스닥 상장사로, 충남 천안에 본사 및 제조설비를 두고 있는 휴대용 부탄가스와 에어졸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주요 사업 부문으로는 '썬연료' 브랜드 명으로 조리용 휴대용 부탄가스, 휴대용 라이터가스, 등산용 휴대용 가스 등을 제조하는 연료 파이프 부문과 헤어스프레이, 살충제, 무스, 방향제 등에 사용되는 에어졸 캔 제품을 생산하는 에어졸 부문으로 나뉜다.2001년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본을 확대했으며, 국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일본 등 해외 시장에서도 제품

  • [진단_펫기업 ①제일바이오] 강동일 대표 체제 제일바이오, 횡령·배임에 감사의견 거절까지…상장폐지 위기 심화

    제일바이오(대표이사 강동일)는 1977년 설립된 반려동물 전문 기업으로, 동물용 의약품과 기능성 사료, 펫 헬스케어 제품을 주력 사업으로 삼아왔다. 2002년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그러나 최근 오너 일가의 횡령·배임 사건에 이어 감사 의견 거절로 상장폐지가 결정됐으며,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상장폐지 결정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하여, 한국거래소의 상장폐지 결정에 대한 법원의 결정이 확인될 때까지 상장폐지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다.문제는 이러한 경영 실패가 단순히 한 기업의 몰락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장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④더네이쳐홀딩스] 박영준 더네이쳐홀딩스 대표, 해외 진출·브랜드 인수에도 실적 악화 불가피... 3년 연속 이익 급락이 보여주는 구조적 위기

    더네이쳐홀딩스(대표이사 박영준)는 2004년 2월 설립된 패션 전문기업으로,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배럴, 마크곤잘레스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라이선스 전문 기업으로 시작해 2020년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현재 시가총액 약 1,610억 원 규모의 중견기업이다. 주요 사업 영역은 브랜드 라이선스 및 자체 개발 브랜드를 통한 의류, 가방, 잡화 등의 기획·디자인·생산·유통이다.최대주주는 2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박영준 대표이며,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40.33%로 설립 이후 안정적인 지배구조

  • [진단_유가공업계 ③푸르밀] 신동환 대표 체제 푸르밀, 토지 매각 덕에 간신히 흑자전환… 본업 적자와 현금흐름 부진은 여전

    우리에게 비피더스, 검은콩우유, 가나쵸코우유 등으로 유명한 유제품 기업 푸르밀(대표이사 신동환)은 모태기업 롯데그룹에서 2007년 분사하며 푸르밀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재 푸르밀은 故신격호 롯데그룹 창업주의 동생인 신준호 회장이 공동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난 뒤 아들인 신동환 대표가 이끌고 있다.푸르밀은 2018년부터 지속된 적자로 인해 신 대표는 결국 2022년 10월 갑작스러운 사업 종료를 발표했다가, 돌연 전체 인원의 30% 감축을 진행하며 폐업을 철회한 바 있다.철회 이후 회사 로고에 ‘고객이 살린 기업’이라는 문구를 삽입하며

  • [진단_교육업계 ⑤대교] 강호준 대표 리더십 아래 드러난 구조적 취약성... 디지털 전환 지연·내부 갈등으로 대교 경쟁력 약화

    우리에 ‘눈높이 교육’으로 친숙하게 알려져 있는 대교(대표이사 강호준)는 1986년 12월에 설립되어 학습지의 출판,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하는 교육 및 문화기업이다.주요 사업부문은 교육서비스사업으로 온ㆍ오프라인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교, 유초등 교육기관 프로그램 제공 및 영유아 예체능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대교에듀캠프, 교육출판사업 키즈스콜레, 디지털 교육 플랫폼 개발 디피니션, 학원전문 서비스업 대교에듀베이션 등을 포함하고 있다.국내 서비스 사업이 전체 매출의 93%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교, 대교에듀캠프 등이 해

  • [진단_문화여가 ③베뉴지] 김만진·김창희 각자대표 체제, 사업다각화 부재로 리스크 확대... 장기 성장 동력 실종 우려

    국내 종합 라이프스타일 기업 베뉴지(김만진,김창희 각자대표)는 1979년 ‘시대주택건설’로 출범해 주택·건설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했다. 이후 웨딩·예식, 유통, 호텔·골프장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종합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최근에는 IT 서비스와 플랫폼 비즈니스를 신성장 축으로 육성하며 사업 구조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창업자 김만진 대표 체제에서 빠른 의사결정과 집중 투자가 이어지며 시장 내 입지를 다졌다.베뉴지가 성장 곡선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특정 사업 의존도가 심화하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단

  • [진단_유가공업계 ②매일유업] 광고비는 늘고 영업익은 줄고… 김선희·이인기·곽정우 대표의 매일유업, 판관비 관리 실패와 내부거래 논란 재점화

    매일유업(김선희,이인기,곽정우 각자대표)은 2017년 5월 매일홀딩스에서 유가공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유제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 6월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유가공 전문기업이다.주요 제품군으로는 유제품, 유아식, 음료, 치즈 등이 있으며, 외식사업, 사회공헌활동 등도 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군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서울우유, 남양유업과 함께 유업계 트리오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재무제표가 지속 악화되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광고비 관리 통해 영

  • [진단_교육업계 ④아이스크림에듀] 박기석 아이스크림에듀 회장, 지분 대규모 매도로 오버행 리스크 심화… 실적 부진 속 기업가치 흔들

    2013년 4월 아이스크림미디어(구.시공미디어)의 아이스크림홈런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2019년 코스닥에 상장한 아이스크림에듀(대표이사 박기석)는 에듀테크 대표기업이다.스마트러닝, 중고등 과정 교육 상품인 ‘홈런’ B2B/공공 교육 컨텐츠, AI 기반 학습 데이터 사업으로 사업영역을 유지중인 기업이다. 하지만, 최근 실적 부진 및 오너 지분 매각 리스크로 기업가치가 출렁이고 있다.꾸준한 적자 속 ‘테마주 효과’... 내부 체력은 여전히 취약2022년 이래 지속 영업적자 및 당기순손실이 이어지는 가운데, 2025년 반기에도 어김없는

  • [진단_문화여가 ②바디프랜드] 곽도연·김철환 공동대표 체제 출범…비용절감 흑자에도 매출 정체·투자자 불신은 과제

    바디프랜드(곽도연,김철환 공동대표)는 2007년 설립된 국내 안마의자 전문기업으로, 혁신적 기술과 프리미엄 제품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안마의자 외에도 헬스케어 기기와 관련 서비스 사업을 전개하며 세계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최근 내부 출신 인사를 중심으로 곽도연·김철환 공동대표를 선임하며 내부 인재 중심 경영 체제로 전환했다. 곽 대표(50)는 롯데칠성음료에서 해외사업과 영업 경험을 쌓은 후 2013년 바디프랜드에 합류, 영업총괄본부장으로 실적 안정화에 기여했다. 김 대표(43)는 13년간 재무전

  • [진단_교육업계 ③비상교육] 교재·출판 부진, 고정비 압박, 내부거래 논란… 양태회 체제 비상교육, 체질개선 필요해 보여

    비상교육(대표이사 양태회)은 1997년 ‘비유와 상징’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교육출판 전문회사로, 출판을 기반으로 회사의 성장을 지속하다 이후 EdTch 기업으로 전환하였다.사업부문은 크게 출판사업부문(약 50%), 러닝사업부문(37%), 티칭사업부문(약 11%)이 있으며, AI 시대에 발맞춰 자체 디지털 플랫폼 AllviA 등을 개발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여기에 빠르게 성장세를 보이며 국내 교육기업 브랜드 인지도 1위에 선정되는 등 국내뿐만 아닌 글로벌로도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순이익의 불안정성... 실적 이익상태 지속성

  • [진단_문화여가 ①한성자동차] 적자 전환·부채 폭등… 마르코김 대표 체제의 한성자동차, 비용 통제 실패와 브랜드 신뢰 추락이 부른 재무 절벽

    2006년 6월 설립된 한성자동차(대표이사 마르코김)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계약을 맺고 국내 최대 규모의 공식 딜러사로 운영되는 프리미엄 자동차 판매 전문 기업이다.차량 판매뿐 아니라 정비, 애프터서비스, 금융·리스 상담 등 종합적인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하지만, 최근 노조의 무기한 파업과 재무 악화, 그리고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가능성까지 삼중고에 직면했다. 준법투쟁으로 고객 불편이 확산하는 가운데, 2년 연속 실적 하락과 부채 급증으로 재무 안정성마저 흔들리며 프리미엄 브랜드 신뢰도

  • [진단_교육업계 ②웅진씽크빅] 윤승현 대표 체제 웅진씽크빅, 부채 압박 속 영업적자 지속, 모회사에 신용보강까지… 재무구조 관리 과제

    유아부터 성인까지 종합적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부문 기업 웅진씽크빅(대표이사 윤승현)은 2007년 웅진그룹의 인적 분할을 통해 설립되었고, 2007년 5월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 되었다.설립 이래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에듀테크 사업부문을 통해 트렌드에 발 맞춰 성장해 왔으며, 2025년 8월에는 교육 상장사 브랜드 평판 2위(1위는 비상교육)에 선정되는 등 업계 단단한 입지를 입증하였다.수년간 옥죄어 오는 부채비율의 압박, EBITDA 악화시켜웅진씽크빅의 20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 [진단_유가공업계 ①서울우유] 최경천 상임이사 체제 서울우유, 유형자산 처분으로 순익 급등… 그러나 신용사업 리스크 관리 허점 노출

    우리에게 친숙한 서울우유(상임이사 최경천)는 1937년 7월 경성우유동업조합으로 출발하여 1962년 법인화가 되고, 현재의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운영중인 기업이다.오랜 역사와 협동조합 기반의 기업 구조, 낙농지원과 유가공 사업의 결합, 그리고 프리미엄 전략을 통한 품질 중심 성장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농협중앙회 회원조합으로서 13개 금융 지점 운영, 예금·대출 등 종합 금융서비스 제공 및 배당금 지급 제도를 운영하는 신용사업도 하고 있다.최근 2024년도 실적이 2023년 대비하여 크게 개선되었고, 그에 따라 과거 몇 개년간 감소

  • [진단_교육업계 ①NE능률] 주민홍 대표 체제 NE능률, 학령인구 감소·적자 지속에 경영 위기 심화

    NE능률(대표이사 주민홍)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교육 출판 및 서비스, 영어 학습서, 유아 교육 교재를 만드는 기업이다. 사업부문으로는 유초등, 고등, 성인 대상 교육용 교재 서비스인 출판교육사업부와 영유아용 학습교재를 만드는 아이챌린지가 있다.2025년 2분기 기준 주요 누적 실적으로는 매출액이 전년 동기 약 -6% 감소한 255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31억 원, 당기순이익 또한 –36억 원으로 작년 동기(-58억원)과 동일하게 적자 상태이다.전통 교육업계의 부진은 이러한 실적 부진의 늪을 지속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NE

  • [진단_여행업 ⑥교원투어] 프리미엄 상품 호평 무색… 장동하 대표의 교원투어 ‘여행이지’, 성과보다 결손금 확대

    교원투어(대표이사 장동하)의 여행 브랜드 ‘여행이지(Travel is Easy)’는 교원투어(옛KRT)가 2022년에 공식 출시한 패키지 여행 전문 브랜드로, 고품질·맞춤형 큐레이션과 고객 편의성을 강조한 브랜드이다.동종업계와 차별성을 위해 부문별 프리미엄 상품(해외여행 패키지에서 노Tip 옵션 등)을 출시하고 있으며, 매출 내 비중을 2022년 10%에서 2024년 17%까지 증가시켰다.호평받는 프리미엄 상품 효과... 자본잠식 극복이 먼저프리미엄 상품(여행이지 플러스)은 출시 이후 완성도 높은 고객의 수요를 맞춘 고품격 상품이란

  • [진단_골프레저 ③와이케이디벨롭먼트] 내부거래 의존 안정 매출 뒤 숨은 ‘이자 폭탄’… 수익성 붕괴 우려

    와이케이디벨롭먼트(대표이사 김승건)는 2016년 8월 설립된 종합 스포츠시설 운영 전문기업으로, 올해로 업력 10년 차를 맞이했다. 본사는 전남 여수시에 있으며, 약 54명의 전문 인력이 스포츠 시설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지분 구조는 미래에셋컨설팅이 보통주 10만 주를 보유하며 전체 지분의 66.67%(총지분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SG Plus Investment and Development PTE LTD는 보통주 5만 주와 우선주 5만 주를 보유하며 전체 지분의 33.33%(총지분의 50%)를 보유하고

  • [진단_여행업 ⑤롯데관광개발] 전환사채 전환에도 불안한 재무구조… 김기병 회장 리더십 시험대

    롯데관광개발(대표이사회장 김기병)은 1971년 5월 설립되어 관광개발 및 국내외 여행알선업, 항공권 판매대행업, 전세운수업 및 관광호텔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는 지분율 35.77% 보유하고 있는 김기병회장 및 특수관계인들로 주주 지배형 관광,레저 기업이다.2025년 2분기 기준으로 총 매출 중 70% 가량이 카지노 매출이며, 나머지는 호텔, 여행이 각각 15% 비중을 차지한다. 그만큼 카지노가 핵심 사업모델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전환사채 의존 속 지분 희석·상환 리스크... 재무 개선 딜레마지난 몇 년간 롯데

  • [진단_골프레저 ②유니골프앤리조트] 매출은 늘어도 순손실 확대, 부채비율 상승… 김동환 유니골프앤리조트, 재무 건전성 우려

    유니골프앤리조트(대표이사 김동환)는 설립 초기부터 공격적인 투자로 골프장과 리조트 시설을 확충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개장 초반에는 예약 대기와 입회 문의가 이어질 정도로 시장 반응이 뜨거웠다.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북방면, 해발 고도와 계절마다 색을 달리하는 산세에 둘러싸인 골프장이 있다. 유니골프앤리조트가 운영하는 ‘카스카디아 컨트리클럽’이다. 설계부터 조경까지 정밀하게 다듬은 18홀 코스, 투숙객이 라운딩 전후로 머물 수 있는 리조트와 부대 시설은 한때 ‘강원권 프리미엄 레저의 아이콘’으로 불린다.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경기

    • 법인명 : 스마트마이 주식회사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157 (선유도 투웨니퍼스트밸리)
    • 대표전화 : 070-4466-7631 / 070-8600-763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대성
    • 제호 : 뉴스워커
    • 등록번호 : 서울 아 01923
    • 등록일 : 2012-01-12
    • 발행·편집인 : 신대성
    • 뉴스워커 인사이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chat GPT 등 AI서비스를 포함해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및 편집 재배포 등을 엄격히 금합니다. 위와 같은 행위시 배상책임을 지게 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Copyright by 뉴스워커 인사이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