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중심의 지배구조는 위기 대응을 늦추고 있으며, 재무 구조는 겉으로 안정적이지만 내실이 약화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고정비 축소와 현금흐름 중심의 재무전략 전환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이사회 독립성 확보·내부거래 투명성 제고·투자 효율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본문 중에서]
오너 중심의 지배구조는 위기 대응을 늦추고 있으며, 재무 구조는 겉으로 안정적이지만 내실이 약화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고정비 축소와 현금흐름 중심의 재무전략 전환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이사회 독립성 확보·내부거래 투명성 제고·투자 효율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본문 중에서]

대한제강(대표이사 이경백)은 1954년 설립되어 2005년 10월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국내 대표 철근 제조사로, 부산 신평·녹산 제철소와 평택 공장을 거점으로 제강 및 압연 일관공정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제강의 지배구조는 오치훈 회장을 중심으로 한 가족 경영 체제이며, 오치훈 회장이 지분율 22.49%로 최대 주주이다. 또한, 대한제강 회장 및 와이케이스틸 대표이사직을 겸임하며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철근 및 빌릿으로, 국내 건설용 철강재 공급망의 주요 축을 담당한다. 최근에는 고품질 코일철근(BIC) 제품 비중을 확대하며 고부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나, 업황 침체로 성과는 제한적이다.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약 3,490억 원, 영업이익은 약 80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8% 급감하였다. 철근 가격이 전년 대비 약 5만 원/톤 하락하고, 건설경기 둔화로 인한 내수 수요 감소가 겹친 결과다.

이러한 실적 부진의 근본 원인으로는 그룹 중심의 자본·의사결정 구조로 인한 경영 독립성 저하 및 내부거래 불투명성(오너 리스크)과 원가 상승, 수요 둔화가 맞물린 손익 변동성 및 설비투자 부담(재무 리스크)으로 요약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