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의 성장 이면에는 그룹 의존적 지배구조, 경직된 원가 구조, 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불안정한 현금흐름, 그리고 수주 확대가 오히려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구조적 취약성이 함께 존재한다. [본문 중에서]
현대로템의 성장 이면에는 그룹 의존적 지배구조, 경직된 원가 구조, 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불안정한 현금흐름, 그리고 수주 확대가 오히려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구조적 취약성이 함께 존재한다. [본문 중에서]

현대로템(대표이사 이용배)은 철도차량, 방산 장비, 친환경·수소 인프라 장비를 핵심 사업으로 하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중공업 계열사다. 현대자동차(주)가 최대주주로서 약 33.7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대차그룹의 순환출자 구조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철도 부문에서는 고속열차, 전동차, 경전철 등 국가 기반 교통수단을 제조하며, 방산 부문에서는 K2 흑표전차, K808·K806 차륜형 장갑차, 무인전투차량 플랫폼 등을 생산하고 있다. 친환경 부문에서는 수소추출기, 수전해 설비, 액화수소 저장 장치를 제조하며, 자동차그룹의 수소 모빌리티 전략과 연계된 역할을 수행한다.

2025년에 들어 현대로템은 한국 제조 대기업 중 가장 극적인 성장 경로를 밟고 있는 기업처럼 보인다. 방산 수출은 기록적 호조를 보이고, 철도·에코플랜트 부문까지 동반 확장하며 매출·영업이익이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 성장은 그 자체로 기업의 경쟁력을 증명하지 않는다.

현대로템의 성장 이면에는 그룹 의존적 지배구조, 경직된 원가 구조, 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불안정한 현금흐름, 그리고 수주 확대가 오히려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구조적 취약성이 함께 존재한다. 이번 실적이 ‘도약’의 신호인지, 아니면 ‘과도한 자본 투입이 만들어낸 일시적 성과’ 인지에 대한 검증이 여전히 필요하다.

그룹 연계성은 수주 확대에 유리... 그러나 제약된 원가 구조와 경영 자율성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