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011년 설립 이후 불과 십여 년 만에 글로벌 CDMO 산업의 정점에 올라선 기업이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삼성물산이 43.1%의 지분을 보유한 절대적 최대주주, 삼성전자가 31.2%를 보유한 2대주주로 자리하고 있다.
회사는 대량 항체의약품(mAb) 중심의 위탁개발·생산(CDMO)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며, 1~5공장 합산 78.4만 L의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1위의 엔드투엔드 서비스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2025년 3분기 실적은 매출 1조6,602억 원, 영업이익 7,288억 원, 영업이익률 44%라는 기록적인 수치를 달성하며 시장에 강력한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이 화려한 외형성과 별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초대형 증설 이후 가동률 조정 가능성, 단가 하방 압력, 그리고 지속적인 자본 지출로 인해 구조적으로 확대되는 현금흐름 리스크와 삼성물산 중심의 절대 지배력 및 그룹 차원의 재편 과정에서 비롯될 수 있는 지배구조 리스크가 존재한다.
용량은 사상 최대지만, 수익성 방어는 미지수... 증설·가동률·단가의 삼중 리스크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디지털헬스케어 ⑩앱클론] 앱클론 이종서 대표, 법차손 해소 뒤에도 남은 불안… ‘자본조달 의존형 경영’ 경고등
- [진단_디지털헬스케어 ⑨로킷헬스케어] 유석환 대표의 로킷헬스케어, 외부자본 의존 심화… 자본잠식은 벗었지만 적자 구조는 여전
- [진단_인공지능 ②우리기술] 노갑선 대표 체제, 원전·방산 호재 속에서도 신뢰 리스크 확대… 지배구조 개선 시급
- [진단_스마트홈 ⑤코콤] 고진호 대표 체제의 코콤, 꾸준한 매출 성장에도 불안한 수주 감소… ESG·재무건전성 모두 경고등
- [진단_물리보안업계 ①엑스페릭스] 엑스페릭스, 윤상철 대표의 ‘스토리 경영’에 흔들린 재무구조… 본업 부진과 자금 조달 악순환 지속
- [진단_철강업계 ④대한제강] 오치훈 회장의 가족경영, 숫자는 안정, 구조는 불안… 대한제강의 느린 의사결정이 부른 구조적 위기
- [진단_방산업계 ②현대로템] 폭발적 외형 성장 뒤에 감춰진 현금흐름 공백과 그룹 의존 리스크... 이용배 대표 체제의 현대로템이 직면한 딜레마
- [진단_광고마케팅 ④아티스트컴퍼니] 아티스트컴퍼니 황경주 대표, 외형 키웠지만 수익성은 ‘착시 성장’... 파생이익에 기댄 일시적 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