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 원대 리파이낸싱 추진…1,000억 원 리캡 포함해 현금 회수 본격화
-구조조정·상장폐지 마무리 후 내부 회수 구조로 전환, IRR 현실화 착수
-IPO·M&A 여전히 옵션…이번 리캡은 ‘사실상 수익 실현 시작점’ 평가

정리_뉴스워커 인사이트
정리_뉴스워커 인사이트

락앤락이 어피니티 품에 안긴 지 8년. 그 사이 많은 일이 있었지만, 지금 추진 중인 2,000억 원대 리파이낸싱과 1,000억 원 리캡 구조는 그 어떤 이벤트보다 명확하게 ‘회수(Exit)’를 향한 의지를 드러낸다. 어피니티가 락앤락 투자에 있어 더 이상 리스크를 테이킹하지 않고 현금화 중심 전략으로 선회했다는 점에서 이 구조는 사실상 수익 실현의 실질적 개시로 평가된다.

인수 이후 락앤락의 ‘전환점’이 된 순간들

2017년 12월, 어피니티는 락앤락 창업주 일가가 보유한 지분 63.6%를 약 6,293억 원에 인수했다. 이 거래는 당시 국내 생활소비재 시장에서 보기 드문 1조 원 밸류에이션의 LBO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인수 직후부터 상황은 예측 밖으로 흘렀다.

중국 중심 매출 구조의 흔들림이 시작됐다. 2012년 락앤락 전체 매출의 51%를 차지하던 중국 비중은, 2023년에는 28.9%까지 감소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직격탄,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홈쇼핑 채널 축소 등 악재가 겹치면서 락앤락은 2018년부터 국내 법인 기준 4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어피니티는 인수 당시 조달한(3,750억 원) 중 일부를 상환하고, 잔존 금액 2,800억 원가량에 대해 9% 수준의 고금리로 3년 만기 연장을 이끌어냈다. 당시 락앤락 주가가 급락해 LTV는 100%에 근접해 있었다. 시장에서는 한 차례 위기 신호로 받아들였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