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자금 보증자·산업 공급자, 미국은 발주·기획권 쥔 구조… 수익 배분 논의 본격화 전망
한미 간 관세 인하 협상의 핵심 성과로 총 3500억 달러(약 488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가 조성된다. 이 중 1500억 달러(약 200조원)가 조선업 전용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펀드’로 배정됐다. 해당 펀드는 미 해군 군함,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 고부가 선종 건조를 비롯해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자율운항·친환경 추진 선박 등 차세대 선박 개발에 이르기까지 조선업 전반을 포괄하는 대규모 산업 협력을 목표로 한다.
자금은 한국의 정책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보증을 중심으로 조성된다.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산업은행이 각종 금융 지원을 맡으며, 정부 보증을 활용해 실투입 자본 대비 수십 배의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구조다. 예를 들어 1조 원의 보증으로 최대 5~10조원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낸싱이 가능하다.
하지만 업계가 주목하는 진짜 변수는 펀드 운용의 실질적 주도권, 즉 GP(General Partner) 지위다. GP는 투자 전략 수립, 프로젝트 선정, 자금 집행, 수익 배분 구조 설계 등 펀드의 ‘두뇌’ 역할을 맡는다. 현재 협상 구조상 주로 LP(Limited Partner)로서 자금 보증자이자 EPC(설계·조달·시공) 공급자로 참여하는 반면, 프로젝트 발굴·기획·운용권은 미국이 사실상 독점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한국이 전체 자금 집행에서 상당한 책임을 지면서도 수익 배분과 사업 결정에서 배제되는 ‘비대칭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 사모펀드 업계 관계자는 “LP는 자금을 대더라도 GP의 의사결정에 종속된다”며 “MASGA처럼 산업·금융이 결합된 장기 프로젝트에서는 공동 GP 체제를 통해서만 수익과 리스크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출·보증 중심의 자금 구조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IB분석] 구조조정의 파고, MASGA로 역주행하는 K조선
- [IB 분석] 고정비, 구조, 수익성…게임업계, ‘진짜 전쟁’은 숫자 뒤에서 벌어진다
- [IB분석] 중국 텐센트, 국내기업 재무적 투자인가 경영권 탈환인가…K-콘텐츠 산업, ‘Soft M&A’의 덫에 걸리나
- [IB탈탈털기] LG화학, 알짜 BPA까지 정리… 생존 건 석유화학 해체 선언
- [분석] LG엔솔, 삼성SDI, SK온..놓친 건 기술이 아니라 타이밍…K배터리, LFP 전략 실패의 교훈
- [진단_실버산업 ③인터로조] 거래는 재개됐지만…노시철 체제 인터로조, 수출의존·재고 부담 ‘이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