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앤컴퍼니(조현범,박종호 각자대표)는 1941년 ‘한국타이어공업’으로 출범한 이후 2012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며 본격적인 그룹 경영 구조를 갖췄다.
2020년에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며 제조 기반의 전통 산업에서 벗어나 미래 산업과 융합한 글로벌 산업그룹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주요 계열사로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아트라스BX, 미국 법인 한국ES아메리카, 그리고 최근 설립된 벤처 투자 전문 자회사 한국앤컴퍼니벤처스가 있다. 이 그룹의 지배구조 정점에는 조현범 회장이 있다. 그는 지분 42.03%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서 대표이사직도 겸하고 있다.
한국앤컴퍼니의 외형 성장 성과 뒤에는 결코 가볍지 않은 의문이 있다. 2025년 1분기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기록했지만, 정작 수익성 지표는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
또한, 성장 스토리 뒤편에 ‘총수 리스크’라는 불확실성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 한국앤컴퍼니그룹 조현범 회장이 횡령·배임 혐의로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 받고 법정 구속된 가운데, 그룹 전반이 긴장 상태에 놓였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가전제품 ②신일전자] 신일전자, 선풍기 그 이상을 꿈꾸다… 계절 장사 한계 직면, 종합가전기업 도약 위한 성장 드라이브 가속
- [진단_가전제품 ①한일전기] 3년 연속 본업 영업적자·자산 매각 순이익… 김영우 회장과 오너 일가만 배불린 한일전기그룹의 사익구조 논란
- [진단_B2C레저 ⑭야놀자] 이수진의 야놀자, 1조 매출 뒤에 가려진 순손실 2,600억… 매출만 키우다 ‘내실’ 놓쳤다, 투명성 없는 나스닥 도전
- [진단_애니메이션&엔터 ②대원미디어] 정욱·정동훈 체제 대원미디어, 오너리스크 본격화… 5년 만에 첫 적자, 내부통제와 수익구조 개편 시급
- [진단_운송물류 ③한진] 수익성 뒷걸음질 한진… 노삼석 號, 체질 개선 없이 투자만 늘렸다, 실속 없는 외형 확대 논란
- [진단_운송물류 ②한솔로지스틱스] 고정한 대표, 실적 악화 속 17만주 스톡옵션…‘책임경영’은 어디에, 내부거래 늘리고 주주가치는 뒷전
- [진단_유아동업계 ⑦토박스코리아] 윤여준 대표 체재, 실적 부진에 따른 경영 전략 재정비 필요... 유아동 패션 시장 성장에도 불구, 하락세 지속
- [진단_전자부품 ⑤서울반도체] 이정훈 대표의 장기집권에도 실적은 뒷걸음질, 고정비는 늘고 R&D는 감소... 순이익 적자와 장기 전략 실종
- [진단_애니메이션&엔터 ③엔에스이엔엠] 고병철 대표 체제 재출범, 계열 리스크만 키운 인사... 내실 강화와 중장기 전략 수립 시급해 보여
- [진단_전자부품 ⑦가온그룹] 임동연 대표 체제 3년, 실적·신용등급 동반 추락… 주주가치 훼손 가속화
- [진단_핀테크기업 ②쿠콘] AI·글로벌 외치며 돌파구 찾는 김종현 대표, 현실은 수익성 둔화와 기술 불신
- [진단_전자부품 ⑧알로이스] 신정관 대표 체제의 알로이스, 실적 성장에도 순손실… 외형 성장 뒤에 가려진 순이익 적자와 투자 실패
- [진단_핀테크기업 ③유라클] 'AI 기업’ 꿈꾸는 조준희 회장의 미래 승부수, 현실은 실적 급락·적자전환과 주가 불안... 비전은 있는데 이익이 없다
- [진단_지주회사 ②소노인터내셔널] 서준혁 회장, 소노인터내셔널 앞세워 티웨이 인수 강행… ‘투자 집중’ 속 내부통제 논란, 공정위·금융당국 ‘이중 감시’ 현실화
- [진단_가전제품 ③루메나] 실적 추락·경영권 흔들, 진중헌의 루메나… ‘PE의 덫’ 빠졌나, 지속가능성 위협
- [진단_디지털보험 ①캐롯손해보험] 문효일號 캐롯손해보험, 보험수익 4,800억에도 재무지표는 '적자 고착'…한화에 흡수 소멸
- [진단_지주회사 ③DN그룹] DN오토모티브 김상헌 회장, 회장·대표·이사회 의장까지 독식… 대외 확장 이면에 놓친 경영 내실
- [지배구조 엿보기] HDC현대산업개발, 정몽규 체제의 HDC현대산업개발… 실적 호조 이면의 지배력 강화와 도덕성 리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