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CAPEX는 단순한 생산라인 증설과 다르다. 완제기 제조사들은 보통 최초 계약 체결 이후 양산 전까지 평균 5~10년의 개발·검증 기간을 거친다. 이 기간 동안 투자되는 CAPEX는 공장 라인보다는 주로 인력배치, 시제기 조작을 위한 특수 조립, 풍동시험 및 내구 인증 등 인프라...[본문 중에서]
방산 CAPEX는 단순한 생산라인 증설과 다르다. 완제기 제조사들은 보통 최초 계약 체결 이후 양산 전까지 평균 5~10년의 개발·검증 기간을 거친다. 이 기간 동안 투자되는 CAPEX는 공장 라인보다는 주로 인력배치, 시제기 조작을 위한 특수 조립, 풍동시험 및 내구 인증 등 인프라...[본문 중에서]

글로벌 방산 수출이 사상 최대 호황을 맞으며 국내 방산기업들도 생산능력(CAPA)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방산시장은 약 2.7조달러(약 3600조원) 규모로 추산되며, 주요 수입국들이 재고 비축 및 군 현대화에 속도를 내면서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세가 예상된다. 한국 역시 FA-50·K9·해상무기 등의 연이은 수출 계약으로 방산 수출액이 2022년 170억 달러를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방산기업의 본질은 단순히 ‘단기 납기 대응’에 있는 것은 아니다. 방위산업은 장기 체계개발과 국가 단위 맞춤형 수주를 기반으로 돌아간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설비투자와 긴 리드타임이 불가피하며, 자연스럽게 운전자본 부담과 재무지표 왜곡이 뒤따른다. 특히 완제기(전투기·헬기)나 대형 플랫폼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일수록 착수와 매출 발생 시점 사이 간극이 클 수밖에 없다.

선투자가 필수인 방산 CAPEX… 현금화까지는 평균 5~10년

방산 제품이라고 모두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은 아니다. 탄약, 보병장비 등 일부 품목은 기성품처럼 대량 생산 후 재고를 유지하다 납품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투기, 공격헬기, 정밀유도무기, 특수함정 등 대규모 국방 플랫폼은 대부분 수요 국가의 요구를 반영해 맞춤 설계·개발부터 이뤄진다. 즉 체계개발(R&D + 상세설계 + 시제기 제작 + 시험인증) 자체가 수주 계약의 핵심이 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