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대표이사 홍원학)은 1957년 4월에 설립되어, 생명보험, 변액보험, 연금보험, 건강/상패보험, 퇴직연금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로는 19.3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물산이다.
총 자산은 약 3백조 원 대로 명실상부 국내 1위 수준의 대표적인 생명보험사이다. 삼성생명은 2025년 상반기 본업인 보험업 실적은 개선되었으나, 투자손익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며 영업이익의 개선폭이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삼성카드의 실적 부진, 외환손실 등 투자손익 감소에 영향
삼성생명의 매출은 보험과 투자로 나뉜다. 보험의 경우 2025년 상반기 기준 8,38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하며 개선된 모습을 보였으며, 건강보험 신계약 보험계약서비스마진(CSM) 증가가 주요 영향으로 해석된다.
다만 투자손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1.8% 감소하였는데, 이는 삼성생명의 자회사인 삼성카드의 실적 부진이 주요 영향으로 꼽힌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기업분석_삼성 편 ①삼성물산] 사법 리스크 벗어난 이재용 회장 삼성물산... 남은 과제는 ‘실적 부진 극복과 신뢰 회복’
- [기업분석 한화 편 ③한화오션] LNG 슈퍼사이클 타고 2분기 영업이익률 첫 두 자릿수…꽃길만은 아니다
- [기업분석 한화편 ②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천% 급증한 영업이익, K-방산의 슈퍼사이클인가 버블인가
- [기업분석_한화 편 ①(주)한화] 지주사로 날아오른 한화, 방산·태양광·조선 삼각성장으로 100조 그룹 굳힌다
- [기업분석_현대 편 ①현대건설] 현대건설, 외형 성장 속 수익성,안전관리 확보 숙제
- [분석_코스맥스 6] 그룹의 제약부문 핵심 플레이어 코스맥스파마, 실상은 모회사 바라기?
- [기업분석_삼성 편 ③삼성중공업] 호실적에 가려진 구조적 위기, 최성안 체제 삼성중공업의 ‘내부 리스크’... 실적 반등에도 매각설과 수주난 이중 압박
- [기업분석_삼성 편 ④삼성디스플레이] 이청 대표, 가격 경쟁과 설비투자 부담 사이 삼성디스플레이 경영 시험대... SFC 의존 구조 속 장기 리스크 관리 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