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청)는 OLED, QD-OLED, 대형LCD 등 첨단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와 글로벌 스마트폰, TV, IT 제조사들이다. 최대주주는 삼성전자로, 약 84.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대 주주는 삼성SDI로 15.2%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실적은 영업이익,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OLED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 중국 경쟁사의 저가 공세, 높은 설비 투자 부담 등 구조적 문제들이 겹치면서 수익성이 약화되었으며, 상반기 CAPEX로 인한 현금 유출 등으로 재무 안정성도 다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최근 SFC와 맺은 전략적 관계에 대한 리스크 기조도 감지되고 있다.
투자·시장·원가가 뒤엉킨 재무적 부담, 리스크로 작용해
삼성디스플레이는 막대한 설비투자를 지속하고 있어, CAPEX 부담이 상당하다. 8.6세대 IT OLED와 QD-OLED 라인의 신규 설비 증설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이지만, 예상보다 수익 회수가 늦어질 경우 단기 재무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례로 아산캠퍼스의 8.6세대 OLED 라인 구축에는 수조 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됐지만, 태블릿·노트북 시장의 수요 둔화로 가동률이 낮아지며 투자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기업분석_삼성 편 ③삼성중공업] 호실적에 가려진 구조적 위기, 최성안 체제 삼성중공업의 ‘내부 리스크’... 실적 반등에도 매각설과 수주난 이중 압박
- [기업분석_삼성 편 ②삼성생명] 홍원학號 삼성생명, 본업 성장에도 삼성카드 부진·외환손실·삼성화재 지분법 논란 ‘3중 리스크’ 직면
- [기업분석_삼성 편 ①삼성물산] 사법 리스크 벗어난 이재용 회장 삼성물산... 남은 과제는 ‘실적 부진 극복과 신뢰 회복’
- [기업분석 한화 편 ③한화오션] LNG 슈퍼사이클 타고 2분기 영업이익률 첫 두 자릿수…꽃길만은 아니다
- [기업분석_현대 편 ①현대건설] 현대건설, 외형 성장 속 수익성,안전관리 확보 숙제
- [기업분석_ 한화 편 ④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 손재일 대표, 매출은 늘었지만 영업이익 반토막… 공격적 확장 뒤 ‘이익 급감’ 경고등
- [기업분석_ 한화 편 ⑤한화세미텍] 김기철 대표의 한화세미텍, 흑자전환 뒤에 숨은 기술 리스크와 구조적 불안
- [기업분석_한화 편 ⑥한화에너지] 이재규 대표의 한화에너지, 성장 명분 앞세운 IPO… 실상은 ‘재무 리스크’
- [기업분석_한화 편 ⑦한화파워시스템] 라피 발타 체제 출범한 한화파워시스템... 글로벌 도전 속 조직문화 충돌·기술 불확실성 ‘이중 리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