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장품 시장의 대표적 성공 신화로 꼽히는 마녀공장(김기현,송지혜 각자대표)은 2012년 3월 설립 이후 자연주의 기능성 스킨케어 브랜드로서 국내외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져왔다.
대표 제품인 ‘퓨어 클렌징 오일’은 3년 연속 올리브영 어워즈 1위를 기록하며 ‘국민 클렌징 오일’로 자리매김했고, 일본·미국·중국 등 65개국에 진출해 2022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57%에 달하는 등 K-뷰티의 글로벌 확장세를 이끌고 있다.
2024년 결산 기준, 마녀공장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21.8% 증가, 영업이익 17% 증가, 당기순이익 40.7% 증가라는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온라인 중심의 유연한 소비자 대응 전략과 클렌징·앰플 등 스테디셀러 제품군의 해외 시장 확장이 주효했다.
특히 일본 라쿠텐·Qoo10에서 한국 화장품 1위를 달성하고, 미국 아마존 및 코스트코 글로벌 전략상품 선정 등으로 미국·유럽·대만 등지에서 본격적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뷰티&헬스 ②코스토리] 코스토리號 김한균 대표 리더십 균열… 적자 속 브랜드 매각, 중국 철수 후폭풍 직면
- [진단_뷰티&헬스 ①청담글로벌] 최석주 대표의 사익 추구 및 지배구조 투명성 논란… 주주가치는 뒷전으로
- [진단_신재생에너지 ⑥DS단석] 오너일가 지분매각·배당실종·임원보수 인상…한승욱式 경영, ‘주주 무시 전략’인가
- [진단_B2C유통 ⑨부릉] 김형설·채윤서 대표의 부릉, 외형 성장 뒤 숨겨진 갑질·적자·오너리스크 ‘3중 악재’에 휘청
- [진단_디지털헬스케어 ⑦올리패스] 감사범위제한 상장폐지 위기, 5년 적자·공시 번복… 손형석·이진한의 올리패스, 투자자만 피해 봤다
- [진단_디지털헬스케어 ⑥딥노이드] 딥노이드 최우식 대표, 적자와 기대 사이에 선 의료 AI… 기술은 성장했지만, 실적은 제자리
- [진단_전자부품 ①휴맥스] 정성민 대표, 11개사 겸직 속 휴맥스 위기… 책임경영 실종됐나, 돌파구 없는 재무 추락
- [진단_금속제조 ⑧한주에이알티] 윤정호의 한주에이알티, 143억 매출 속 100억 순손실, 잦은 대표 교체와 다각화의 위기
- [진단_B2C레저 ⑩엔씨소프트] 김택진·박병무의 '공동 리더십', 실적 추락 막지 못했다…하반기 신작 출시로 실적 상승 기대
- [진단_전자부품 ②자화전자] 김상면·김찬용 각자대표 체제 속 수익성 악화… R&D 줄이고 외형만 키웠다
- [진단_B2C레저 ⑪영실업] 강철구 대표 체제 1년, 영실업 '계속기업' 전제 흔들…모회사 특혜 논란 가중
- [진단_애니메이션 ①스튜디오미르] 고액 보수·적자 경영, 유재명 대표 체제… 재무 리스크, 주주가치 훼손 우려
- [진단_전자부품 ③파인디지털] 김용훈 대표의 고집, 매출 감소세에도 불구 연구개발 집착이 만든 46억 영업적자
- [진단_운송물류 ②한솔로지스틱스] 고정한 대표, 실적 악화 속 17만주 스톡옵션…‘책임경영’은 어디에, 내부거래 늘리고 주주가치는 뒷전
- [진단_전자부품 ④에이디칩스] 김미선 대표의 무리한 다각화, 에이디칩스 존립 흔든다... 소액주주만 피눈물
- [진단_B2C레저 ⑫그래디언트] 적자 기업 그래디언트…이기형·남인봉 대표, 고액 보수와 배당금 ‘이중 수령’ 논란
- [진단_가전제품 ①한일전기] 3년 연속 본업 영업적자·자산 매각 순이익… 김영우 회장과 오너 일가만 배불린 한일전기그룹의 사익구조 논란
- [진단_전자부품 ⑤서울반도체] 이정훈 대표의 장기집권에도 실적은 뒷걸음질, 고정비는 늘고 R&D는 감소... 순이익 적자와 장기 전략 실종
- [진단_운송물류 ③한진] 수익성 뒷걸음질 한진… 노삼석 號, 체질 개선 없이 투자만 늘렸다, 실속 없는 외형 확대 논란
- [진단_가전제품 ②신일전자] 신일전자, 선풍기 그 이상을 꿈꾸다… 계절 장사 한계 직면, 종합가전기업 도약 위한 성장 드라이브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