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행된 마스가 TF 1차 회의에는 조선 3사의 대관 및 전략 담당 임원들이 모두 참석해 각사의 입장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표면적으로는 협업 의지가 강조됐지만, 회의에 동석한 한 관계자는 “분위기 자체는 우호적이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누가 주도권을 쥘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묻어났다”고 분위기를...[본문 중에서]
최근 진행된 마스가 TF 1차 회의에는 조선 3사의 대관 및 전략 담당 임원들이 모두 참석해 각사의 입장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표면적으로는 협업 의지가 강조됐지만, 회의에 동석한 한 관계자는 “분위기 자체는 우호적이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누가 주도권을 쥘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묻어났다”고 분위기를...[본문 중에서]

미국 조선업 재건을 목표로 한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본격 궤도에 오르면서, 총 1500억달러(약 200조원) 규모의 전용 펀드를 둘러싼 국내 조선 3사 간 주도권 경쟁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한화오션, HD현대, 삼성중공업은 범정부 차원의 ‘마스가 TF’에 참여해, 펀드 설계 방향부터 자금 배분, 사업 영역 분담까지 핵심 쟁점을 조율 중이다.

‘마스가 TF’는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무역보험공사(K-SURE), 수출입은행, 그리고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및 조선사 3사가 공동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다. 애초 정책 대응 중심의 협의기구로 출범했지만, 최근에는 실질적인 사업 실행과 자금 운용 전략 논의로 무게 중심이 옮겨진 상황이다.

조율 대상은 크게 네 가지로 압축된다. ▲미국 내 조선소 인수·신설 등 현지 투자 ▲스마트 야드 구축을 위한 첨단설비 도입 ▲조선 기술 인력 양성과 한미 간 기술 교류 ▲수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패키지 등이다. 단순 지원이 아닌, 전략 산업 재편과 수익 창출을 동시에 노린 구조적 재원 배분이 이뤄질 전망이다.

‘선점’ 한화 vs ‘설계권’ 노리는 HD현대 vs ‘우회로’ 삼성중공업…셈법 엇갈리는 조선 3사

조선 3사의 MASGA 접근 전략은 명확하게 갈린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