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내부 의존 구조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고배당’ 행보는 단기적 주주 환원으로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재무 체력 약화와 기업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적 부진 속 ‘성장보다 보상’을 택한 HS애드의 경영 전략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본문 중에서]
광고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내부 의존 구조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고배당’ 행보는 단기적 주주 환원으로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재무 체력 약화와 기업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적 부진 속 ‘성장보다 보상’을 택한 HS애드의 경영 전략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본문 중에서]

HS애드(대표이사 박애리)는 1984년 5월 설립된 국내 대표 종합광고대행사로, LG그룹의 계열사이자 ㈜LG가 최대 주주이다. 영상 콘텐츠 제작과 온·오프라인 프로모션 기획 역량을 결합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풀서비스 체계와 소셜 운영 능력을 기반으로 광고 전 영역에서 통합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장기적 파트너로 성장해 왔다.

LG전자,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그룹 핵심 계열사의 브랜드 캠페인과 글로벌 홍보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며 LG그룹의 ‘브랜드 콘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HS애드는 매출 감소와 영업손실 확대 등 수익성 방어에 실패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 규모는 확대됐다.

광고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내부 의존 구조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고배당’ 행보는 단기적 주주 환원으로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재무 체력 약화와 기업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적 부진 속 ‘성장보다 보상’을 택한 HS애드의 경영 전략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LG그룹 매출 의존 심화... 비용 통제 실패로 재무 불균형 확대

2025년 상반기 HS애드의 재무 성적표는 시장의 기대를 크게 밑돌았다. 매출액은 1,797억 원으로 전년 동기(2,110억 원) 대비 14.8% 감소하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영업손익은 –13억 원에서 –90억 원으로 적자 폭이 약 6.9배 가까이 확대됐고, 당기순이익 역시 –84억 원으로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