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2월 설립된 아시아나항공(대표이사 송보영)은 국내외 여객 운송, 화물 운송, 저비용항공사(LCC)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선과 국제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항공 운송업을 주된 사업으로 한다.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는 대한항공으로, 아시아나항공 지분 63.88%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1월 대한항공 출신 인사로 송보영 대표가 선임되어 재직 중이다. 최근 3분기 실적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대한항공과의 통합에 대한 우려점도 감지되고 있다.
통합의 착시, 이익은 증발... 아시아나항공 3분기 경고 신호
2025년 3분기 아시아나항공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항공과의 통합 효과에도 불구하고, 여객 수요의 편중과 가격 경쟁 심화가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3분기 동안 해외여행 수요가 뚜렷하게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노선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하락했다. 일본 노선의 전체 국제선 점유율은 26%에 달해 코로나19 이전(2019년 20%) 대비 크게 상승했으며, 이에 따른 공급 과잉과 운임 하락이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운송물류 ⑦대한항공] 조원태號 대한항공, 통합 시너지 대신 재무 리스크 확대… LS EB로 번진 오너 리스크
- [진단_광고마케팅 ①HS애드] 박애리 대표 체제 HS애드, 실적 부진 속 ‘고배당 역주행’... 내부 의존 심화로 재무 불균형 확대
- [진단_캠핑업계 ⑧코베아] 김상현 코베아 대표, 캠핑붐 퇴조 속 실적 추락… 적자 지속과 브랜드 가치 하락 우려
- [진단_가구업계 ⑤시디즈] 김태은·우인환 시디즈 대표, 공정위 첫 연동제 제재에 적자 전환… 내부통제·수익구조 모두 불안
- [진단_통신장비 ⑦알엔투테크놀로지] 성영철·조서용 대표의 알엔투테크놀로지, 적자 지속 속 최대주주 변경... 낮은 가동률·적자 누적으로 ‘내실 경영’ 시험대
- [진단_스마트홈 ③코맥스] 변우석 대표 체제 코맥스, 자본 갉아먹는 영업 구조… 상장폐지 리스크 속 책임경영 논란
- [진단_석유화학업계 ⑤GS칼텍스] GS칼텍스 허세홍號, 실적 부진에 ‘내부거래·노동 리스크’ 이중 악재… 오너 일가 배당 구조 논란
- [진단_지주회사 ⑫동국제강] 내부거래 리스크와 부채 부담 동시 노출…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회장, 지주사 체제의 역효과 가시화
- [진단_광고마케팅 ②SM C&C] SM C&C 박태현 대표, 광고 부진·내부거래 축소 ‘이중 악재’… 그룹 재편 속 실적 방어 ‘비상’
- [진단_지주회사 ⑬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ESG 추락… 장인화號, 정부 눈치보다 주주 외면, ESG·지배구조 모두 적신호
- [진단_운송물류 ⑨제주항공] “공급 유지의 함정”, 김이배 대표의 제주항공... 단기차입으로 버티는 재무 위기
- [진단_통신장비 ⑨핸디소프트] 매출 성장 뒤 가려진 수익성 리스크… 비용 부담·종속사 부진, 핸디소프트 이해석 대표의 ‘성장 착시’
- [진단_운송물류 ⑩진에어] 박병률의 진에어, 외형 안정 뒤 통합 리스크 잠복... 수익성 둔화 심화, 통합·환율·유가 삼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