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은 1954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민간 철강회사로, 철근·형강·후판·도장강판 등 다양한 철강제품을 생산하며 포항·인천 등에 전기로 기반 생산설비를 갖춘 중견 철강기업이다.
2023년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사 동국홀딩스와 사업회사 동국제강으로 분리되었고, 동국씨엠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코팅강판(Luxteel, Appsteel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와 국내 감산 기조로 수익성 회복 기대가 높아졌으나, 건설경기 둔화로 철근 수요 감소와 재고 압박이 실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회사는 “Steel for Green” 비전을 내세워 하이퍼 전기로(Hyper EAF) 기술 등 저탄소 철강 생산체제로 전환 중이며,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경영 투명성 강화와 승계 구조 안정화 과제도 병행하고 있다.
다만 오너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하는데, 장세주 회장은 2015년 횡령·배임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으며 경영 공백을 겪은 바 있고 이후 복귀했지만 시장의 신뢰 회복은 완전하지 않다.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구조는 단순화됐지만, 동국홀딩스-동국제강-계열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 내에서 오너 일가의 영향력이 여전히 높아 향후 승계 구도나 일감몰아주기·사익편취 리스크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진단_지주회사 ⑪무림그룹] 이도균 대표, ‘퍼스트브랜드’ 영예 뒤 가려진 무림그룹의 수익성 위기... 관세 리스크 속 실적 하락, 재무부담 가중
- [진단_지주회사 ⑩형지글로벌] 최병오 체제의 형지, 실적 악화에도 대규모 유상증자·스테이블코인 신사업 도전… 투자자들 ‘불안’
- [진단_가구업계 ④코아스] 민경중·노병구 대표 체제의 코아스, ‘계속기업 불확실성’ 경고… 전환사채·소송·자본잠식, 존속 리스크 현실화
- [진단_스마트홈 ②상지건설] 유상증자 실패로 드러난 구조적 부실... 김영신 대표의 경영 신뢰 흔들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⑦호전실업] 박용철·박진호 체제의 불투명 경영, 호전실업 신뢰 추락 초래... 내부거래와 실적 추락 ‘이중 리스크’
- [진단_냉난방업계 ②위닉스] 윤철민 위닉스號, 파라타항공 인수로 재무 불안 증폭… 가전 신뢰도까지 흔들
- [진단_석유화학업계 ⑤GS칼텍스] GS칼텍스 허세홍號, 실적 부진에 ‘내부거래·노동 리스크’ 이중 악재… 오너 일가 배당 구조 논란
- [진단_캠핑업계 ⑦헬리녹스] 헬리녹스 강연수 대표, 캠핑 붐 종식 뒤 수익성 붕괴… 적자 전환에 배당 논란까지, 체질개선 시급
- [진단_스마트홈 ③코맥스] 변우석 대표 체제 코맥스, 자본 갉아먹는 영업 구조… 상장폐지 리스크 속 책임경영 논란
- [진단_통신장비 ⑦알엔투테크놀로지] 성영철·조서용 대표의 알엔투테크놀로지, 적자 지속 속 최대주주 변경... 낮은 가동률·적자 누적으로 ‘내실 경영’ 시험대
- [진단_캠핑업계 ⑧코베아] 김상현 코베아 대표, 캠핑붐 퇴조 속 실적 추락… 적자 지속과 브랜드 가치 하락 우려
- [진단_운송물류 ⑦대한항공] 조원태號 대한항공, 통합 시너지 대신 재무 리스크 확대… LS EB로 번진 오너 리스크
- [진단_광고마케팅 ①HS애드] 박애리 대표 체제 HS애드, 실적 부진 속 ‘고배당 역주행’... 내부 의존 심화로 재무 불균형 확대
- [진단_운송물류 ⑧아시아나항공] 송보영號 아시아나항공, 통합 시너지 대신 실적 경고등... 구조적 리스크 현실화
- [진단_통신장비 ⑧대한광통신] 급락하는 유동비율과 현금흐름, 재무구조 ‘경고등’... 설윤석·박민수 각자대표 리더십 시험대
- [진단_광고마케팅 ②SM C&C] SM C&C 박태현 대표, 광고 부진·내부거래 축소 ‘이중 악재’… 그룹 재편 속 실적 방어 ‘비상’
- [진단_지주회사 ⑬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ESG 추락… 장인화號, 정부 눈치보다 주주 외면, ESG·지배구조 모두 적신호
- [진단_캠핑업계 ⑨자이글] 자이글, 이진희 대표의 허상 경영… 허위 공시·적자 누적·가족경영의 그늘이 낳은 코스닥 신뢰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