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는 ‘재무적 안정’이라는 외형적 신호 뒤에, 통합 리스크·수익성 악화·현금흐름 둔화라는 삼중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금의 안정세는 근본적 체질 개선이 없는 한 일시적 착시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본문 중에서]
진에어는 ‘재무적 안정’이라는 외형적 신호 뒤에, 통합 리스크·수익성 악화·현금흐름 둔화라는 삼중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금의 안정세는 근본적 체질 개선이 없는 한 일시적 착시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본문 중에서]

진에어(대표이사 박병률)는 대한항공이 지분 약 60%를 보유한 저비용항공사(LCC)로, 한진그룹 계열 내 중단거리 여객 운송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다. 인천·김포·부산을 거점으로 일본, 동남아 등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하며, 최근에는 기재 효율화와 신규 노선 개척을 통해 외형 성장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겉보기의 안정과 달리, 회사는 구조적 리스크에 깊이 노출되어 있다. 최근 3년간 부채비율을 대폭 낮추며 재무 건전성을 개선한 듯 보이지만, 이는 향후 에어부산·에어서울과의 통합을 대비한 일시적 조정에 불과하다.

통합 대상인 두 회사의 재무 상태는 각각 부채비율 900%, 완전자본잠식이라는 최악의 수준으로, 흡수합병 시 진에어의 재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일본·동남아 중심의 단거리 노선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며, 운임 인하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고환율·고유가·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비용 압박, 신규 항공기 도입에 따른 감가상각 및 정비비용 증가 역시 현금흐름을 제약하고 있다.

결국 진에어는 ‘재무적 안정’이라는 외형적 신호 뒤에, 통합 리스크·수익성 악화·현금흐름 둔화라는 삼중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지금의 안정세는 근본적 체질 개선이 없는 한 일시적 착시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성장 대신 생존”... 구조적 한계에 갇힌 진에어의 현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