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스틸은 기술력과 시장지위를 보유한 철강사이지만, 2025년 들어 외형과 내실의 괴리가 심화되고 있다. 그룹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는 위기 상황에서 신속성을 잃고, 수익성보다 유동성 관리를 우선시하게 만드는 구조적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본문 중에서]
KG스틸은 기술력과 시장지위를 보유한 철강사이지만, 2025년 들어 외형과 내실의 괴리가 심화되고 있다. 그룹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는 위기 상황에서 신속성을 잃고, 수익성보다 유동성 관리를 우선시하게 만드는 구조적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본문 중에서]

KG스틸(대표이사 박성희)은 냉간압연강판(CR), 아연도금강판(GI), 프리코팅강판(GL) 등 판재류를 주력으로 생산·판매하는 국내 철강업체다. 1982년 10월 설립되어 한국 철강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2021년 KG그룹에 인수된 후 2022년 ‘동부제철’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생산거점은 당진·인천 제철소이며, 전기로(EAF) 중심의 설비 구조를 갖추고 있다. 대표이사는 박성희 사장으로, 생산·영업·재무 관리 경험을 겸비한 전문경영인이다. 최대주주는 KG에코솔루션(지분율 44.98%)으로, 그룹의 자금·전략 컨트롤이 전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8,051억 원, 영업이익은 369억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판가 인하와 수요 부진이 동시에 작용하며 수익성 방어가 제한적이었고, 설비 가동률도 전년 대비 낮아졌다.

KG스틸의 주요 리스크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그룹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에 따른 독립성 제약과 자본배분 왜곡 가능성(최대주주 리스크), 둘째, 스프레드 축소와 탈탄소 CAPEX 증가에 따른 현금흐름·레버리지 악화(재무 리스크)이다.

그룹 시너지가 아닌 족쇄로 작용하는 지배구조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