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철강사로서 자동차강판, 형강, 봉형강, 특수강 등을 생산하며, 자동차·조선·건설 산업 전반에 철강재를 공급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2023년 11월에 선임된 서강현 사장으로, 그룹 내 재무 및 기획 부문 경험이 풍부하다.
2025년 현재 최대주주는 기아(주)(지분율 17.27%)이며,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11.81%, 국민연금이 약 10%, 현대자동차가 약 7%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그룹 내부거래 의존도를 높이는 동시에, 철강 부문의 독립적 의사결정권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전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였으나, 이는 원료가 하락과 자동차용 강판 수요 개선이라는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결과였다.
현대제철을 완성차 중심의 그룹 지배구조로 인한 가격결정력 제약 등 최대주주 리스크와 CBAM과 수출쿼터 축소로 인한 정책·오너 리스크, 원가 변동과 레버리지 부담이 중첩된 재무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익보다 이해관계가 우선되는 거버넌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운송물류 ⑨제주항공] “공급 유지의 함정”, 김이배 대표의 제주항공... 단기차입으로 버티는 재무 위기
- [진단_지주회사 ⑬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ESG 추락… 장인화號, 정부 눈치보다 주주 외면, ESG·지배구조 모두 적신호
- [진단_광고마케팅 ②SM C&C] SM C&C 박태현 대표, 광고 부진·내부거래 축소 ‘이중 악재’… 그룹 재편 속 실적 방어 ‘비상’
- [진단_캠핑업계 ⑨자이글] 자이글, 이진희 대표의 허상 경영… 허위 공시·적자 누적·가족경영의 그늘이 낳은 코스닥 신뢰 붕괴
- [진단_가구업계 ⑤시디즈] 김태은·우인환 시디즈 대표, 공정위 첫 연동제 제재에 적자 전환… 내부통제·수익구조 모두 불안
- [진단_통신장비 ⑧대한광통신] 급락하는 유동비율과 현금흐름, 재무구조 ‘경고등’... 설윤석·박민수 각자대표 리더십 시험대
- [진단_석유화학업계 ⑤GS칼텍스] GS칼텍스 허세홍號, 실적 부진에 ‘내부거래·노동 리스크’ 이중 악재… 오너 일가 배당 구조 논란
- [진단_냉난방업계 ②위닉스] 윤철민 위닉스號, 파라타항공 인수로 재무 불안 증폭… 가전 신뢰도까지 흔들
- [진단_스마트홈 ④현대HT]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지속가능성 경고등’… 이건구 현대HT, 채권 회수 리스크와 ESG 불균형이 발목
- [진단_운송물류 ⑩진에어] 박병률의 진에어, 외형 안정 뒤 통합 리스크 잠복... 수익성 둔화 심화, 통합·환율·유가 삼중고
- [진단_철강업계 ②세아베스틸] 특수강의 역설, 세아베스틸의 불편한 진실... 수요 부진·저가 공세·ESG 규제 삼중압박 속에 고부가 전략의 한계 노출
- [진단_광고마케팅 ④아티스트컴퍼니] 아티스트컴퍼니 황경주 대표, 외형 키웠지만 수익성은 ‘착시 성장’... 파생이익에 기댄 일시적 흑자
- [진단_철강업계 ③KG스틸] 그룹 중심의 자본정책, 박성희號의 구조적 한계... ESG·유동성·독립성, 세 방향에서 흔들리는 KG스틸의 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