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자산은 43억4,082만원으로 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유동성 압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유동성 악화는 재무구조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데, 당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76억9,664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292.7%로 전기 372.8% 대비 80.1%p 하락...[본문 중에서]
현금성자산은 43억4,082만원으로 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유동성 압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유동성 악화는 재무구조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데, 당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76억9,664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292.7%로 전기 372.8% 대비 80.1%p 하락...[본문 중에서]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인 우리신용정보(이중호 대표)가 심각한 경영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1991년 설립된 우리신용정보는 신용조사 및 채권추심 전문회사로, 우리금융지주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 등 전국 16개 지점을 운영 중이나, 최근 재무제표 분석 결과 매출처 편중과 유동성 악화 등 여러 위험신호가 감지됐다.

거래처 의존도 심화... 매출 57% 우리은행·우리카드에 집중

우리신용정보의 매출구조가 특정 계열사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은행으로부터의 매출이 163억9,892만원, 우리카드로부터의 매출이 66억8,047만원으로, 이들 두 회사가 전체 매출의 약 5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체 매출 403억1,841만원 중 230억7,939만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우리은행에 대한 의존도가 40.7%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매출 편중 현상은 전년에도 유사했는데, 전기 매출액 368억7,088만원 중 우리은행과 우리카드로부터의 매출이 각각 127억3,458만원, 85억5,637만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높은 특수관계자 거래 의존도는 독립적인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주요 거래처인 우리은행이나 우리카드의 경영환경 변화나 거래조건 변경 시 회사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어, 사업 리스크 분산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