덱스터스튜디오는 2011년 주식회사 덱스터디지털로 설립된 VFX(시각특수효과) 전문 기업으로, 영화, 드라마, 광고,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의 후반 작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201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16년 현재의 주식회사 덱스터스튜디오로 상호를 변경했다. 최대주주는 19.24%의 지분을 보유한 영화감독 김용화로 덱스터스튜디오와 덱스터픽쳐스의 대표이사를 역임한 바 있다.
대표작으로는 신과함께, 모가디슈, 백두산 등이 있고 최근에는 광고 분야와의 시너지를 위한 사업과 버추얼 프로덕션, 메타버스 등의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어지는 수익성 악화에도 치열해지는 VFX경쟁
2023년 영업수익은 6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 가량 증가했다. 그러나 잠정공시된 24년 영업실적에 따르면 24년의 매출액은 537억 원 가량으로 23년 대비 20.7% 가량 하락하여 수년간 이어져오던 매출액 증가세가 멈추게 됐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미디어 ④팬엔터테인먼트] OTT 시장 확장에도 불안한 실적과 정체된 사업 구조
- [진단_미디어 ③스튜디오드래곤] 재도약의 기회일까 침체의 시작일까.. 주춤한 K-컨텐츠
- [진단_미디어 ②쇼박스] 매출 급등에 주주환원 시동거나... 여전히 구조적 문제는 남아
- [진단_미디어 ①위지윅스튜디오] K-컨텐츠에도 영업손실 지속.. 미래 먹거리 메타버스는 어디로 갔나
- [진단_자율주행 ③유진로봇] 사업구조 재편 후 재도약 시도···성장동력은 확보했으나 재고 부담 여전
- [진단_자율주행 ②나무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둔화 속 수익성 악화와 부채 증가에 직면
- [진단_레저장비 ⑤블리츠웨이스튜디오] 적자 행진 속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콘텐츠 사업, 수익성 다각화의 노력이 성공할 수 있을까..
- [진단_인테리어 ②파세코] 코로나19 소비 흐름에 맞물린 과거의 호실적과 이에 안주했던 파세코의 영업손실
- [진단_포장재 ①대영포장] 영업실적 꺾여도 안정적인 재무비율.. 경쟁 위한 과감함은 어디에
- [진단_인테리어 ③선앤엘] 만년 적자 기업을 탈피하기 위한 노력의 미비한 효과와 소송 우발 부채 설정으로 불안해진 재무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