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엔터테인먼트는 음반제작, 기획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8년 HS미디어로 설립되어 2006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드라마 제작사로, 주요 사업은 드라마 콘텐츠 기획, 제작 및 판매이다.
여러 방송사 및 플랫폼과 협업하여 컨텐츠를 제작해왔고, 음반, 영화 배급과 부동산 임대업도 병행하고 있다.
2024년 3분기까지 최대주주는 지분율 35.93%을 보유한 박영석 대표이사로서 주가가 4년여 만의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자 두 아들에게 주식을 일부 증여하고, 현재는 33.15%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반짝으로 끝난 매출 증가.. 여전히 낮은 수익성
팬엔터테인먼트의 2023년 매출액은 1,238억 원으로 22년 253억 원과 21년의 304억 원 대비 크게 늘었다. 그러나 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17억 원으로 전년 동기 961억 원 대비 67% 감소하며 일회성 매출 증가에 그쳤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미디어 ③스튜디오드래곤] 재도약의 기회일까 침체의 시작일까.. 주춤한 K-컨텐츠
- [진단_미디어 ②쇼박스] 매출 급등에 주주환원 시동거나... 여전히 구조적 문제는 남아
- [진단_미디어 ①위지윅스튜디오] K-컨텐츠에도 영업손실 지속.. 미래 먹거리 메타버스는 어디로 갔나
- [진단_건강기능식품 ①헬릭스미스] 실적 부진과 경영권 분쟁,리베이트 스캔들, 소송 악순환 등 경영진 도덕성 논란
- [진단_자율주행 ③유진로봇] 사업구조 재편 후 재도약 시도···성장동력은 확보했으나 재고 부담 여전
- [진단_자율주행 ②나무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둔화 속 수익성 악화와 부채 증가에 직면
- [진단_정보보안 ③안랩] 지속된 성장 속 드러나는 위험요소들...영업이익 감소 및 국내 매출 편중 '경고등'
- [진단_정보보안 ②라온시큐어] 3분기 적자전환...매출 성장에도 수익성 악화로 인한 현금 유동성 위험 증가
- [진단_미디어 ⑤덱스터스튜디오] K-컨텐츠 열풍에도 여전히 적자... 매출 감소에 주저앉을까 뛰어오를까
- [진단_인테리어 ②파세코] 코로나19 소비 흐름에 맞물린 과거의 호실적과 이에 안주했던 파세코의 영업손실
- [진단_포장재 ①대영포장] 영업실적 꺾여도 안정적인 재무비율.. 경쟁 위한 과감함은 어디에
- [진단_인테리어 ③선앤엘] 만년 적자 기업을 탈피하기 위한 노력의 미비한 효과와 소송 우발 부채 설정으로 불안해진 재무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