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하나금융지주(대표이사 함영주)는 2025년 상반기에도 견조한 실적과 탄탄한 자본비율을 자랑하며, 주가·주주환원 정책에서 긍정적 신호를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은행업, 금융투자업, 신용카드업, 할부금융 및 시설대여업, 저축은행업, 생명보험업, 자산신탁 및 운용업, 신기술사업금융업(하나벤처스), NPL투자관리업(하나에프앤아이), 손해보험업 등이 있다.
그러나 그 이면을 살펴보면, 시장과 시민사회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되는 두 가지 고질적 문제점인 경영진의 경영·지배구조 리스크 및 이사회 견제 기능 약화와 내부통제·금융소비자 보호 부족(판매실태·금융사고 논란) 문제는 여전히 회사의 평판과 중장기 리스크를 증폭시킬 여지가 크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자는 ‘높은 배당·자사주’ 같은 단기 메리트에만 현혹될 것이 아니라, 규제·소송·평판 리스크 등이 종합적으로 실적에 미칠 충격까지 함께 고려해야 하겠다.
최근 발표된 견조한 실적과 재무지표... 그럼에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진단_금융지주 ⑩신한벤처투자] 성과보수 급증에도 순이익 역행… 박선배 대표의 신한벤처투자, VC 고질적 리스크 직면
- [진단_유통업계 ⑥쏘카] 박재욱 대표의 쏘카, 리브랜딩 이후에도 지속되는 재무 불안과 신뢰성 훼손... 매출성장 불구 적자 고착, 전략 혼선
- [진단_유가공업계 ③푸르밀] 신동환 대표 체제 푸르밀, 토지 매각 덕에 간신히 흑자전환… 본업 적자와 현금흐름 부진은 여전
- [진단_공기업 ⑪강원랜드] 정책 실험 부작용·지역사회 반발·리더십 공백… 강원랜드, 최대 실적 뒤 구조적 위기 노출
- [진단_교육업계 ⑤대교] 강호준 대표 리더십 아래 드러난 구조적 취약성... 디지털 전환 지연·내부 갈등으로 대교 경쟁력 약화
- [진단_문화여가 ③베뉴지] 김만진·김창희 각자대표 체제, 사업다각화 부재로 리스크 확대... 장기 성장 동력 실종 우려
- [진단_저축은행 ⑤IBK저축은행] 전병성號 IBK저축은행, 지역권 한계와 PF 리스크에 흔들리는 수익 기반… 모회사 지원에도 자생력 의문
- [진단_광물개발 ⑥성안머티리얼스] 임종찬 대표, 섬유 쇠퇴와 희토류 사업 불확실 속 삼중 리스크 직면... 체질 개선이 성장의 관건
- [진단_금융지주 ⑫하나증권] 하나증권, '흑자 ' 지속 가능할까...흑자 이면에 감춰진 부동산 PF 리스크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③전방] 조덕현 대표 체제 전방, 3년 연속 적자에 주주환원도 소극적… 저평가 심화·사업 축소 악순환
- [진단_금융지주 ⑬하나생명] 남궁원號 하나생명, 흑자전환 성과에도 자본력 한계와 중장기 성장성 의문
- [기업분석_현대 편 ①현대건설] 현대건설, 외형 성장 속 수익성,안전관리 확보 숙제
- [진단_금융지주 ⑮핀크] 장일호 대표 체제 핀크, 일부 서비스 철수 후 마이데이터·블록체인 집중… 생존 시험대
- [기업분석_삼성 편 ①삼성물산] 사법 리스크 벗어난 이재용 회장 삼성물산... 남은 과제는 ‘실적 부진 극복과 신뢰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