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대표이사 박재욱)는 2011년 설립된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으로,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 시장에 비교적 빠르게 진입해 새로운 흐름을 선도해 왔다. 설립 초기에는 제한된 지역에서 카셰어링을 제공했지만, 이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며 전국 단위의 플랫폼 기반 기업으로 성장했다.
쏘카의 지배구조는 창업자인 이재웅 전 대표가 대표조합원으로 있는 ‘유한책임회사 에스오큐알아이’가 19.7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재웅 전 대표가 지분을 보유한 ‘유한책임회사 에스오피오오엔지‘가 6.10%, 이재웅 전 대표가 9.99%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롯데렌탈이 25.70% 지분을 보유하여 2대주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2022년에는 높은 성장성의 기대감 속에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나, 상장 이후로의 실적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고정비의 증가와 재무구조 악화 등이 겹치며 주가는 공모가 이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쏘카는 타다 이후의 단순한 ‘차 대여 플랫폼’의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하여 2025년 7월, 대대적인 리브랜딩을 단행했다.
중장기 렌터카 서비스 출시, 전동 킥보드와 자전거 연계 서비스, 공항~도심 간 통합 이동 수단 제공 등 모빌리티 전반을 아우르는 범위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철회되는 합병 건도 있는만큼 흑자 전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진단_유통업계 ⑤당근마켓] 김용현·황도연 대표의 당근마켓... 급격한 성장에 가려진 매출 구조 편중화와 스톡옵션 리스크로 우려되는 IPO
- [진단_유통업계 ④11번가] 실적 악화·IPO 좌초… 박현수 대표 11번가, 투자자 신뢰 붕괴 위기
- [진단_금융지주 ⑩신한벤처투자] 성과보수 급증에도 순이익 역행… 박선배 대표의 신한벤처투자, VC 고질적 리스크 직면
- [진단_교육업계 ⑤대교] 강호준 대표 리더십 아래 드러난 구조적 취약성... 디지털 전환 지연·내부 갈등으로 대교 경쟁력 약화
- [진단_공기업 ⑩한전기술] 매출 급감·영업적자, 일회성 이익 뒤 숨은 한전기술의 구조적 위기... 김태균 사장 리더십 시험대
- [진단_저축은행 ④고려저축은행] 문윤석號 고려저축은행, 부실 PF·규제 압박에 순손실 10배 확대… 자본 건전성 경고음
- [진단_지주회사 ⑪무림그룹] 이도균 대표, ‘퍼스트브랜드’ 영예 뒤 가려진 무림그룹의 수익성 위기... 관세 리스크 속 실적 하락, 재무부담 가중
- [진단_문화여가 ③베뉴지] 김만진·김창희 각자대표 체제, 사업다각화 부재로 리스크 확대... 장기 성장 동력 실종 우려
- [진단_저축은행 ⑤IBK저축은행] 전병성號 IBK저축은행, 지역권 한계와 PF 리스크에 흔들리는 수익 기반… 모회사 지원에도 자생력 의문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②이랜드월드] 최종양·조동주 대표 경영, 높은 차입금과 주요 브랜드 의존으로 구조적 취약성 확대
- [진단_통신장비 ①다산네트웍스] 다산네트웍스 남민우 대표, 매출 폭증에도 순손실·현금유출 심화… 무리한 다각화가 본업 잠식
- [진단_금융지주 ⑪하나금융지주] 견조한 실적 뒤 경영 리스크… 배당·자사주 확대에도 함영주 회장 사법·내부통제 리스크 부담
- [진단_금융지주 ⑫하나증권] 하나증권, '흑자 ' 지속 가능할까...흑자 이면에 감춰진 부동산 PF 리스크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③전방] 조덕현 대표 체제 전방, 3년 연속 적자에 주주환원도 소극적… 저평가 심화·사업 축소 악순환
- [진단_금융지주 ⑬하나생명] 남궁원號 하나생명, 흑자전환 성과에도 자본력 한계와 중장기 성장성 의문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④더네이쳐홀딩스] 박영준 더네이쳐홀딩스 대표, 해외 진출·브랜드 인수에도 실적 악화 불가피... 3년 연속 이익 급락이 보여주는 구조적 위기
- [진단_금융지주 ⑭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정해성號, 부동산 부진 여파로 실적 하락… 하나자산운용 합병으로 반전 노리나
- [기업분석_현대 편 ①현대건설] 현대건설, 외형 성장 속 수익성,안전관리 확보 숙제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⑤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선방에도 역부족, 패션 부진에 재고 부담까지… 신세계인터내셔날, 체질 개선 시급
- [진단_펫기업 ①제일바이오] 강동일 대표 체제 제일바이오, 횡령·배임에 감사의견 거절까지…상장폐지 위기 심화
- [진단_금융지주 ⑮핀크] 장일호 대표 체제 핀크, 일부 서비스 철수 후 마이데이터·블록체인 집중… 생존 시험대
- [진단_캠핑업계 ①태양] 현창수 대표, 가격담합 후폭풍에 휘청이는 태양… 수익성 악화와 법적 리스크 심화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⑥LF] 구본걸 LF그룹 회장, 패션 본업 부진 속 금융 확장 가속… 패션 위기·승계 불확실성 리스크
- [진단_캠핑업계 ②ES큐브] 재무 착시와 현금흐름 붕괴 뒤에 가려진 현실… 안경환 대표가 직면한 ES큐브의 매출 붕괴·주주 불신·지배구조 불안의 삼중고
- [진단_공공기관 ①한국식품관리안전인증원] 한상배 원장 이끄는 한국식품관리안전인증원, 감사결과에 드러난 구조적 위기... 내부윤리·재무 모두 적신호
- [기업분석_삼성 편 ①삼성물산] 사법 리스크 벗어난 이재용 회장 삼성물산... 남은 과제는 ‘실적 부진 극복과 신뢰 회복’
- [진단_통신장비 ②오늘이엔엠] 끊이지 않는 적자·변동성 큰 자본정책, 본업 부진에 무리한 확장… 이홍관·허재 대표 리스크 가중
- [진단_공공기관 ②건강보험심사평가원] ‘흑자 경영’ 내세운 강중구 원장, 금융수익 덕에 간신히 흑자… 본사업은 여전히 적자 지속
- [진단_냉난방업계 ①오텍] 강성희 회장 이끄는 오텍, 매출 하락·적자 고착화… 승계 경영 논란에 투자자 불신 심화
- [진단_디지털헬스케어 ⑨로킷헬스케어] 유석환 대표의 로킷헬스케어, 외부자본 의존 심화… 자본잠식은 벗었지만 적자 구조는 여전
- [진단_캠핑업계 ③파세코] ‘창문형 에어컨’과 ‘캠핑 난로’ 명가의 위기, 흑자 전환에도 본질은 회복 못한 유일한 대표의 파세코… 재무 리스크 경고 신호 여전
- [진단_공공기관 ③한국보건복지인재원] 윤리 부재·재무 불균형…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복합 위기’ 직면
- [진단_석유화학업계 ①SK이노베이션] 추형욱號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적자에 무너진 실적… SK온 ‘끝없는 수혈’에 재무 불안 가중
- [진단_공공기관 ⑤한국도로공사] 함진규 사장 체제, 공기업 신뢰의 균열... 재무건전성 둔화와 내부통제 붕괴의 구조적 문제
- [진단_공공기관 ⑧한국부동산원] 손태락 원장 체제의 한국부동산원, ‘흑자 속 신뢰 부실’… 공시·시장질서 모두 경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