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SP(대표이사 이도균)는 1956년 고(故) 이무일 회장이 창립한 청구제지에서 시작되었다. 1975년에는 동서펄프공업을, 1976년에는 무림P&P를 설립하며 제지 사업의 기반을 넓혔다.
동서펄프공업은 1979년 신무림제지(현 무림페이퍼)로 사명을 변경했고, 1984년에는 삼성제지(현 세하)를 인수하며 백판지 시장에 진출해 외형을 키웠다.
현재 무림그룹은 무림P&P㈜, 무림페이퍼㈜, 무림SP㈜, 무림파워텍㈜, 무림캐피탈㈜, 무림로지텍㈜, Moorim USA, Moorim UK, PT Plasma Nutfah Marind Papua, 미래개발㈜ 총 10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으며, 이 가운데 무림SP·무림페이퍼·무림P&P 3개사가 상장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무림그룹의 경영 승계는 현재 3세로 이어졌다. 2020년 3월 23일부터 25일까지 열린 주주총회를 통해 이동욱 회장의 장남 이도균 사장이 무림SP·무림페이퍼·무림P&P 3개 상장사의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이도균 대표는 계열사 무림캐피탈(주), 무림파워텍㈜, 무림로지텍㈜, 미래개발㈜에도 이사로 있다. 그는 1978년생으로, 뉴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2007년 무림페이퍼 영업본부에 입사해 경영에 합류했다. 현재는 이들 3사의 사내이사에도 올라 그룹 경영을 직접 주도하고 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진단_지주회사 ⑩형지글로벌] 최병오 체제의 형지, 실적 악화에도 대규모 유상증자·스테이블코인 신사업 도전… 투자자들 ‘불안’
- [진단_지주회사 ⑨TKG휴켐스] 김우찬 대표의 리더십 시험대…TKG휴켐스, 수익성 추락·지배구조 불신 심화
- [진단_신탁업계 ①한국토지신탁] 외형성장 뒤에 가려진 내부통제 붕괴…김성진 대표 리더십 시험대
- [진단_공기업 ⑧한전KPS] 김홍연 대표 체제 한전KPS, 사상 최대 실적 뒤에 드러난 구조적 위기
- [진단_문화여가 ①한성자동차] 적자 전환·부채 폭등… 마르코김 대표 체제의 한성자동차, 비용 통제 실패와 브랜드 신뢰 추락이 부른 재무 절벽
- [진단_금융지주 ⑤동양생명] 성대규 체제 동양생명, 수익성 흔들... 저성장과 지배구조 종속의 이중 리스크
- [진단_교육업계 ②웅진씽크빅] 윤승현 대표 체제 웅진씽크빅, 부채 압박 속 영업적자 지속, 모회사에 신용보강까지… 재무구조 관리 과제
- [진단_유통업계 ⑤당근마켓] 김용현·황도연 대표의 당근마켓... 급격한 성장에 가려진 매출 구조 편중화와 스톡옵션 리스크로 우려되는 IPO
- [진단_문화여가 ②바디프랜드] 곽도연·김철환 공동대표 체제 출범…비용절감 흑자에도 매출 정체·투자자 불신은 과제
- [진단_금융지주 ⑥우리금융캐피탈] PF 줄여도 안심 못할 기동호號의 우리금융캐피탈, 조달·자동차금융 이중 리스크 여전
- [진단_패션섬유업계 ①한섬] 김민덕 대표의 한섬, 3년 연속 매출 하락… 브랜드 경쟁력 약화·재고 리스크에 실적 부진 가속
- [진단_금융지주 ⑦신한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단기 모멘텀 확보에는 성공했지만… NIM 정체·PF 부실로 구조적 불안 경계해야
- [진단_광물개발 ⑥성안머티리얼스] 임종찬 대표, 섬유 쇠퇴와 희토류 사업 불확실 속 삼중 리스크 직면... 체질 개선이 성장의 관건
- [진단_공기업 ⑨GKL] 윤두현 사장 체제 GKL, 외부 호재에 기댄 반짝 실적… 내실없는 성장, 경영평가 부진이 드러낸 구조적 한계
- [진단_교육업계 ④아이스크림에듀] 박기석 아이스크림에듀 회장, 지분 대규모 매도로 오버행 리스크 심화… 실적 부진 속 기업가치 흔들
- [진단_공기업 ⑩한전기술] 매출 급감·영업적자, 일회성 이익 뒤 숨은 한전기술의 구조적 위기... 김태균 사장 리더십 시험대
- [진단_유가공업계 ②매일유업] 광고비는 늘고 영업익은 줄고… 김선희·이인기·곽정우 대표의 매일유업, 판관비 관리 실패와 내부거래 논란 재점화
- [진단_금융지주 ⑧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이선훈 대표가 마주한 부동산PF 리스크 관리와 지주 종속 구조가 드러낸 성장의 한계
- [진단_문화여가 ③베뉴지] 김만진·김창희 각자대표 체제, 사업다각화 부재로 리스크 확대... 장기 성장 동력 실종 우려
- [진단_교육업계 ⑤대교] 강호준 대표 리더십 아래 드러난 구조적 취약성... 디지털 전환 지연·내부 갈등으로 대교 경쟁력 약화
- [진단_금융지주 ⑩신한벤처투자] 성과보수 급증에도 순이익 역행… 박선배 대표의 신한벤처투자, VC 고질적 리스크 직면
- [진단_저축은행 ④고려저축은행] 문윤석號 고려저축은행, 부실 PF·규제 압박에 순손실 10배 확대… 자본 건전성 경고음
- [진단_유통업계 ⑥쏘카] 박재욱 대표의 쏘카, 리브랜딩 이후에도 지속되는 재무 불안과 신뢰성 훼손... 매출성장 불구 적자 고착, 전략 혼선
- [진단_지주회사 ⑫동국제강] 내부거래 리스크와 부채 부담 동시 노출…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회장, 지주사 체제의 역효과 가시화
- [진단_지주회사 ⑬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ESG 추락… 장인화號, 정부 눈치보다 주주 외면, ESG·지배구조 모두 적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