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지글로벌처럼 테마주 이슈로 주가가 단기 급등했지만 실적 개선이 뒤따르지 않는 기업이 진행하는 유상증자는 업황이나 펀더멘털 개선에 따른 유증이 아니므로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문 중에서]
형지글로벌처럼 테마주 이슈로 주가가 단기 급등했지만 실적 개선이 뒤따르지 않는 기업이 진행하는 유상증자는 업황이나 펀더멘털 개선에 따른 유증이 아니므로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문 중에서]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최병오)는 1982년 '크라운사'라는 이름으로 동대문시장 한 평 남짓한 의류 가게에서 출발했다. 창립자인 최병오 회장은 ‘가성비’와 ‘실용’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중저가 고품질 여성복 시장을 정조준했다.

싱가포르 기반의 글로벌 브랜드 ‘크로커다일’을 여성복으로 재해석해 1996년 국내에 론칭한 ‘크로커다일레이디’는 3050 여성 고객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었으며, 단일 브랜드로 2007년 연매출 3,000억 원을 돌파하는 경이적인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다양한 브랜드를 연이어 선보이며 패션 시장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2004년에는 우성I&C(현 형지I&C)가 코스닥에 상장되었고, 2006년 ‘샤트렌’, 2007년 ‘올리비아하슬러’ 등 여성복 브랜드를 연달아 론칭하였다.

글로벌화의 신호탄은 골프웨어 브랜드 ‘까스텔바작’ 인수로부터 시작됐다. 패션그룹형지는 2014년 해당 브랜드를 인수하고, 2016년에는 (주)까스텔바작 법인을 설립했으며 2019년에는 코스닥에 상장했다. 이를 통해 패션그룹형지는 한국을 브랜드 헤드쿼터로 삼은 글로벌 토털 패션기업의 토대를 마련했다.

패션그룹형지는 24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상장사는 총 3개사로 형지글로벌, 형지아이앤씨, 형지엘리트이다. 이 가운데 형지글로벌은 그룹의 글로벌 전략을 이끌 핵심 계열사로 지목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