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배터리 위기론 중심에 선 SK온, CATL과 격차는 '넘사벽'

SK온은 현재 재무적 투자자(FI)들과의 계약에 따라 2026년까지 기업공개(IPO)를 완료해야 하는 상황이다. 필요 시 상장 기한을 2028년까지 1년 단위로 연장할 수 있도록 조정했지만, FI들에게 보장된 수익률 조건과 목표 기업가치 달성 의무는 여전히 존재한다.문제는 현재의 재무구조로는 IPO 자체가 유의미한 자본조달 수단이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상장 이후에도 추가 자금 유입 없이는 차입금 상환 및 운전자본 확보 자체가 쉽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장에서는 SK온의 미래 성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분위기가 짙어지고 있다. 시장 성장률이 둔화된 북미를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을 설득할만한...[본문 중에서]
SK온은 현재 재무적 투자자(FI)들과의 계약에 따라 2026년까지 기업공개(IPO)를 완료해야 하는 상황이다. 필요 시 상장 기한을 2028년까지 1년 단위로 연장할 수 있도록 조정했지만, FI들에게 보장된 수익률 조건과 목표 기업가치 달성 의무는 여전히 존재한다.문제는 현재의 재무구조로는 IPO 자체가 유의미한 자본조달 수단이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상장 이후에도 추가 자금 유입 없이는 차입금 상환 및 운전자본 확보 자체가 쉽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장에서는 SK온의 미래 성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분위기가 짙어지고 있다. 시장 성장률이 둔화된 북미를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을 설득할만한...[본문 중에서]

2025년 들어 전기차 시장이 ‘캐즘(Chasm)’ 국면에 진입하면서, 국내 배터리 산업 전반에 구조적 재편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그 한가운데 선 기업이 SK온(대표; 이석희)이다

2021년 SK이노베이션에서 분할 창립된 SK온은 출범 이후 단 한번도 순이익을 기록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전기차 시장의 장기 성장을 전제로 한 공격적 확장 전략을 펼친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순차입금이 23조4659억원에 이르는 고부채 구조로 전환됐다.

최근에는 포스코퓨처엠과의 합병설까지 제기되며 시장 불안이 일시적으로 확산됐다. 양사는 곧바로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지만 이와 같은 시나리오가 등장할 만큼 SK온의 재무 리스크가 심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자산 절반이 부채…’차입 주도형’ 성장 구조의 민낯

2025년 1분기 말 기준, SK온의 연결 자산총계는 50조4341억원이다. 이 중 순차입금이 23조4659억원, 전체 자산의 46.5%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자기자본은 약 14.3조원에 그쳐, 순차입금 대비 자기자본 비율(레버리지)은 163.7%로, 재무적 위험 구간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상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