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대상에는 경주, 울산, 목포에 위치한 3~5성급 호텔 자산 일체가 포함됐으며, 부동산 가치가 높은 관광지 중심 입지에 위치해 있어 잠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 외에도, 현대로보틱스 지분 매각과 하이투자증권 금융 계열사 정리 등 연쇄적인 자산 유동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호텔현대 매각은 이 중에서도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실질 유동성을 확보한 대표적 거래로...[본문 중에서]
매각 대상에는 경주, 울산, 목포에 위치한 3~5성급 호텔 자산 일체가 포함됐으며, 부동산 가치가 높은 관광지 중심 입지에 위치해 있어 잠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 외에도, 현대로보틱스 지분 매각과 하이투자증권 금융 계열사 정리 등 연쇄적인 자산 유동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호텔현대 매각은 이 중에서도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실질 유동성을 확보한 대표적 거래로...[본문 중에서]

2017년 7월, 현대중공업은 자회사인 호텔현대(현 라한호텔)의 지분 100%를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에 2,000억 원에 매각했다. 이는 조선업 불황에 따른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한 3조5천억 원 규모의 경영개선계획의 일환으로, 비핵심 자산을 단계적으로 매각하는 전략에 따라 실행됐다.

매각 대상에는 경주, 울산, 목포에 위치한 3~5성급 호텔 자산 일체가 포함됐으며, 부동산 가치가 높은 관광지 중심 입지에 위치해 있어 잠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 외에도, 현대로보틱스 지분 매각과 하이투자증권 금융 계열사 정리 등 연쇄적인 자산 유동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호텔현대 매각은 이 중에서도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실질 유동성을 확보한 대표적 거래로 꼽힌다.

당시만 해도 사모펀드가 호텔업에 진출한 사례가 드물었다는 점이다. 호텔업은 구조적으로 고정비가 높고 인건비 비중이 크며 ROI 회수 주기가 길다는 특성 탓에, 빠른 투자 회수와 엑시트를 중시하는 PEF의 운용 방식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자산운용보다는 오퍼레이션 중심의 체질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산업군이라는 점에서, 시장은 한앤컴퍼니의 접근을 이례적인 행보로 받아들였다.

한앤컴퍼니의 역발상...’호텔 체인 플랫폼’으로 구조 전환

한앤컴퍼니는 호텔현대 인수를 단순한 부동산 투자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해당 자산들을 바탕으로 지역 수요에 최적화된 체인 호텔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기존의 외국인 의존형 특급호텔 모델과 달리, 내수 기반의 지역 밀착형 전략을 통해 자체 브랜드의 생존성과 확장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접근이었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