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실적 부진의 배경에는 타이어 금형 제조 산업 특성상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타이어 기업의 직접 생산 확대 등 외부적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다이나믹디자인의 내부적 비용 구조 및 효율성 개선 부진이 더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본문 중에서]
이러한 실적 부진의 배경에는 타이어 금형 제조 산업 특성상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타이어 기업의 직접 생산 확대 등 외부적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다이나믹디자인의 내부적 비용 구조 및 효율성 개선 부진이 더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본문 중에서]

1999년 설립되어 2015년 3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다이나믹디자인(대표이사 황응연)은 국내 타이어 금형 및 타이어 제작 기계의 설계∙생산∙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제조 전문 기업이다. 

주요 고객은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등이며, 한국타이어를 제외한 국내 타이어 금형 시장에서 한국프리시전웍스∙세영TMS∙대광기업과 함께 상위 4사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멕시코, 루마니아,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에 종속법인을 두고 있으며, 2023년에 인도네시아의 니켈광산법인(PT. BIMI NICKLE PRATAMA)과 니켈유통법인(PT. TIRTA ALAM MINERAL)을 인수하였다. 태국∙튀르키예 시장 진출도 모색 중이나 아직 매출 기반은 미약해 수익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

다이나믹디자인의 최대주주는 ㈜이브이첨단소재로, 2024년 말 기준 지분 23.11%(보통주 7,992,590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브이첨단소재는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가 최대출자사로 17.30%의 지분을 보유한 기업이다.

그러나 최대주주인 ㈜이브이첨단소재 역시 2023년 결산 기준 -58억(영업이익률 -9.2%), 2024년 결산 기준 26억(영업이익률 3.1%)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재무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