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7일 연결재무제표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감률이 모두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해를 넘길수록 어려운 사정을 드러내고 있다. 저조한 매출의 원인은 의류 유통 판매 구조에서 비롯한 높은 지급수수료와 재고 관리 비용이 꼽혔다. [본문 중에서]
올해 2월7일 연결재무제표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감률이 모두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해를 넘길수록 어려운 사정을 드러내고 있다. 저조한 매출의 원인은 의류 유통 판매 구조에서 비롯한 높은 지급수수료와 재고 관리 비용이 꼽혔다. [본문 중에서]

한국 의류 시장은 1970년대를 기점으로 단순 원재료 가공에서 의류 브랜드 사업으로 꾸준히 발전해 현재 40조 원이 넘는 대규모의 시장을 형성했다. 하지만 수십 년 동안 성장 궤도만을 달려왔던 의류 사업도 경기 침체기 앞에선 꼼짝 못 하는 듯하다.

1987년에 설립된 한섬은 대중적인 여성 브랜드를 대거 탄생시킨 회사다. 소유하고 있는 국내 브랜드는 SJSJ, 시스템, MINE 등이 있다. 해외 수입 브랜드는 랑방 컬렉션, 타미히필거, DKNY, 클럽모나코 등의 라이선스를 취득해 판매하고 있다.

2012년 상반기에 현대 백화점 계열사로 편입되어 대기업으로 분류되었다. 현재 김민덕 대표이사 경영하에 사업 다각화(라이프, 뷰티)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올해 2월7일 연결재무제표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감률이 모두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해를 넘길수록 어려운 사정을 드러내고 있다. 저조한 매출의 원인은 의류 유통 판매 구조에서 비롯한 높은 지급수수료와 재고 관리 비용이 꼽혔다.

2년 연속 수익성 악화...글로벌 경제 어렵다는데 기회의 땅 찾아 나서는 것만이 혁신?

이 기사는 유료회원 전용기사입니다.

뉴스워커 인사이트는 유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입니다.(유료서비스 가입 안내)
본 기사는 회원전용 기사로, 전체 기사를 읽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가입하신 회원님께서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